머리말 | 포스트자본주의 프로젝트의 시작 • 5
1부
1장 신자유주의는 끝났다 _ 33
“또 하나의 마약” • 38
명목화폐 • 46
경제의 금융화 • 55
국가 간 불균형 • 63
정보기술 혁명 • 67
좀비 시스템 • 72
2장 장기순환이란 무엇인가 _ 79
총살당한 경제학자 • 82
콘드라티예프 이론의 실제 의미 • 86
가상의 곡선 • 91
모스크바의 추운 감방 • 94
무작위로 추출한 숫자들 • 97
콘드라티예프 구하기 • 101
3장 마르크스는 옳았는가? _ 109
마르크스는 무엇을 주장했나 • 113
자본주의, 시장을 억압하다 • 119
자본주의의 변이 • 123
좌파는 재앙을 기다린다 • 127
길을 잃은 좌파 • 131
위기이론의 문제점 • 142
완벽한 파동 • 145
파동이 생기는 이유는? • 151
4장 중단된 장기순환 _ 155
명시적인 규칙의 힘 • 160
전후의 호황기 • 163
무엇이 파동을 붕괴시켰나 • 168
케인스주의, 계속 전진 • 172
노동에 대한 공격 • 174
그림으로 보는 파동의 붕괴 • 178
패턴이 깨진 이유 • 192
2부
5장 포스트자본주의를 예언한 사람들 _ 197
드러커의 질문은 옳았다 • 203
정보재가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• 209
오픈 소스의 등장 • 216
혼돈의 가장자리로 • 220
새로운 생산양식? • 226
공짜 상품의 경제학 • 232
일반지성 • 235
제3의 자본주의? • 243
포스트자본주의: 하나의 가설 • 247
6장 공짜 기계를 향하여 _ 255
노동이 가치의 원천이다 • 258
숫자로 보는 노동가치설 • 263
타당한 반론들 • 269
노동가치설에서 말하는 생산성 • 274
'미래의 일'을 회피하는 이론 • 278
노동가치설이 중요한 이유 • 282
마르크스와 정보기계 • 285
기계가 생각을 한다면 • 290
혼합형 경제의 공짜 기계 • 293
정보자본주의는 어떤 모습일까? • 297
7장 아름다운 반항아들 _ 305
1771~1848: 공장은 전쟁터 • 312
1848~98: 인간 대 기계 • 318
1898~1948: 돼지 들고 걷기 • 323
레닌과 노동귀족 • 326
처참한 아름다움: 1916~39 • 329
대학살 • 335
1948~89: 노동이 ‘부조리’가 되다 • 337
1967~76: 뜨거운 10년 • 343
이탈리아: 새로운 통제방식 • 348
디지털 반항아, 아날로그 노예 • 353
3부
8장 전환에 대하여 _ 365
볼셰비키, 화성에 가다 • 368
러시아의 악몽 • 372
계산 논쟁 • 376
전환기에는 전환기의 법칙이 있다 • 382
사이버 스탈린주의자들의 공격 • 386
거대한 변화: 셰익스피어 대 마르크스 • 393
전환의 동력 • 398
9장 공황은 필연이다? _ 409
기후 재앙을 막아내려면 • 418
인구 변화라는 시한폭탄 • 422
현실을 부정하는 세계 엘리트 • 431
10장 프로젝트 제로 _ 439
전환의 다섯 가지 원칙 • 444
최상위 목표 • 449
모델부터 만들고, 실행은 나중에 • 453
위키 국가 • 455
협력적 노동의 확장 • 460
독점은 억제하거나 사회화한다 • 463
시장의 힘을 없애야 한다 • 464
금융 시스템을 사회화하라 • 467
모두에게 기본소득을 • 473
통제 없는 네트워크 • 476
이게 진짜로 가능한가요? • 481
1퍼센트를 해방시키자 • 483
미주 • 486 / 찾아보기 • 511
더보기접기
독자의견 남기기